집안 위생을 위해 구비는 해놓고선 쓸 때는 사실 잡히는대로 쓰는 3종이다.. 베이킹소다, 구연산, 과탄산소다. 3가지 천연세제 성분의 차이점과 성분, 그리고 정확한 청소 시 쓰임새에 대해서 정확히 짚고 넘어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조사 후 남겨둔다.ㅎ 이왕이면 천연재료로 청소하는 게 내 입에 들어가는 먹거리와 몸에 닿는 옷들에 안전할 것 같아서 3종을 더욱 더 잘 활용하고 싶어서다.
베이킹소다, 구연산, 과탄산소다 각각 어떤 물질일까?
3가지 세제의 가장 큰 차이는 PH 지수라고 한다. PH7이 중성이라면, 베이킹 소다와 과탄산소다는 각각 PH8과 PH11로 염기성 알칼리 세제다. 구연산은 PH2로 산성이다.
알칼리 염기성 세제 사용처 : 기름때, 음식물, 땀 같은 산성에 닿아서 중화시키면서 사용
산성 세제 사용처 : 물때, 세제 찌꺼기 같은 알칼리 염기성 오염 제거 시 사용
결국 알칼리와 산성이 만나 중화가 되도록 사용을 한다는 것이 요점 같다. 이러면, 어떤 때와 오염이 염기성인지 산성인지 파악을 해서 거기에 맞게 쓰는게 중요할 듯.
다만, 과탄산소다와 베이킹소다가 같은 염기성이라고 같은 취급을 해선 안될 것 같은게, PH 지수에 따라서 세정력과 용도에 차이가 있다고 하니 잘 알아두자.
- 과탄산소다 : 3가지 천연세제 중 PH지수가 가장 높은 세제로, 세정력이 강력하고 표백도 잘 된다. 기름때, 핏자국 같은 강력 얼룩에 효과적이라고. 욕실청소에도 아주 좋다고 하는데, 과탄산소다를 뿌리고 따듯한 물을 부어주면 물로만 헹궈도 깨끗해진다고 하니, 다음 욕실 청소 때 한번 써먹어봐야겠다.
그리고 표백기능이 있어서 찌든 때 빨래에도 적합하다. 다만, 과탄산소다 사용 시에는 PH지수가 높아서 반드시 환기가 잘 되게 해놓고 쓰고 고무장갑을 써야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고 하네.
- 베이킹소다 : 내 손에 가장 흔히 잡히는 세제다. 왠만하면 베이킹소다부터 설치는 데 앞으로는 3종의 차이에 대해서 알게 되었으니, 베이킹소다만 주구장창 쓰는게 아니라 각각의 용도에 맞게 잘 쓰고 싶다.
과탄산소다와 같은 염기성 세제로, 성분이 비교적 순해서 '먹어도 되는 천연세제'로 분류된다. 물론, 막 퍼먹으면 절대 안되고! 사과나 레몬 등등 과일 씻을때, 야채 씼을 때, 스테인레스 냄비의 얼룩 등 입으로 연결되는 것을 세정할 때 쓰면 좋다고 한다.
그리고 냄새를 흡착하는 탈취력이 있어서, 퀴퀴한 냄새 나는 곳에 넣어두면 냄새가 빠지는 효과가 있다고 함. 그런데, 이건 내가 써보니 그냥 미미한 수준이긴 했다.
- 구연산 : 3종 중 유일하게 산성을 띄는 성분으로, 염기성 때 즉 대표적으로 '물때'에 강하다는 특징이 있다. 수전에 얼룩, 거울, 욕조, 벽면 타일 등 주로 '욕실'에서 그 능력치를 가장 잘 발휘할 수 있는 세제이니 욕실에 비치해두도록 해야겠다.
한줄 요약 : 베이킹소다 - 먹는거 씻을 때 / 과탄산소다 - 강력한 기름때와 찌든 오염 / 구연산 - 물때 OK!🥸
'Review &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보험 만기 시기 도래 - 티맵 좀 자주 켜 놀 걸... (커넥티드 안전운전 할인) (0) | 2025.02.09 |
---|---|
겨울철 목감기 기승, 콜대원에 들어 있는 구아이페네신은 어떤 성분? (0) | 2025.02.06 |
청약아파트 잔금 납부는 아무래도 일반 대출로 가야할 듯 (0) | 2025.01.31 |
DSR, LTV, DTI 무엇 인지 조사했다. (맨날 헷갈림) (0) | 2025.01.30 |
넷플릭스 인생 다큐멘터리 2선 <아비치 : 내 이름은 팀, 나의 마지막 쇼> (1) | 2025.01.11 |